코딩/백준

[백준/파이썬/자료구조] 10799번 쇠막대기 코딩테스트 연습풀이

thisisjade 2022. 5. 15. 15:58
728x90

문제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10799

 

10799번: 쇠막대기

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한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들을 자른다. 쇠막대기와 레이저

www.acmicpc.net

 

문제

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한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들을 자른다.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 쇠막대기는 자신보다 긴 쇠막대기 위에만 놓일 수 있다. - 쇠막대기를 다른 쇠막대기 위에 놓는 경우 완전히 포함되도록 놓되, 끝점은 겹치지 않도록 놓는다.
  • 각 쇠막대기를 자르는 레이저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레이저는 어떤 쇠막대기의 양 끝점과도 겹치지 않는다. 

아래 그림은 위 조건을 만족하는 예를 보여준다. 수평으로 그려진 굵은 실선은 쇠막대기이고, 점은 레이저의 위치, 수직으로 그려진 점선 화살표는 레이저의 발사 방향이다.

이러한 레이저와 쇠막대기의 배치는 다음과 같이 괄호를 이용하여 왼쪽부터 순서대로 표현할 수 있다.

  1. 레이저는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의 인접한 쌍 ‘( ) ’ 으로 표현된다. 또한, 모든 ‘( ) ’는 반드시 레이저를 표현한다.
  2. 쇠막대기의 왼쪽 끝은 여는 괄호 ‘ ( ’ 로, 오른쪽 끝은 닫힌 괄호 ‘) ’ 로 표현된다. 

위 예의 괄호 표현은 그림 위에 주어져 있다.

쇠막대기는 레이저에 의해 몇 개의 조각으로 잘려지는데, 위 예에서 가장 위에 있는 두 개의 쇠막대기는 각각 3개와 2개의 조각으로 잘려지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주어진 쇠막대기들은 총 17개의 조각으로 잘려진다.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나타내는 괄호 표현이 주어졌을 때, 잘려진 쇠막대기 조각의 총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한 줄에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나타내는 괄호 표현이 공백없이 주어진다. 괄호 문자의 개수는 최대 100,000이다. 

 

출력

잘려진 조각의 총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를 한 줄에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

 

예제 출력 1

17

 

예제 입력 2

(((()(()()))(())()))(()())

 

예제 출력 2

24

 

시간초과

import sys

tmp = sys.stdin.readline()

laser = []
left = []
right = []
answer = 0

for i in range(1, len(tmp)):
    if tmp[i-1] == "(" and tmp[i] == ")":
        laser.append(i)
    elif tmp[i-1] == "(":
        left.append(i)
    elif tmp[i] == ")":
        right.append(i)

for a, b in zip(left,right):
    tmp = 1

    for i in laser:
        if a < i < b:
            tmp+=1
    answer+=tmp
print(answer)

laser의 인덱스, 쇠막대기 left, right로 입력받아서 tmp에 계산하여 answer에 값을 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지만 시간초과로 다른 방법을 찾게 되었습니다.

 

정답

laser = list(input())
answer = 0
arr = []

for i in range(len(laser)):
    if laser[i] == '(':
        arr.append('(')

    else:
        if laser[i-1] == '(': 
            arr.pop()
            answer += len(arr)

        else:
            arr.pop() 
            answer += 1 
print(answer)

1. 입력받은 값을 list로 laser에 입력

2. answer 0으로 입력, arr 배열 세팅

3. if - "("가 나올 경우 배열에 추가

4. else - if - ")"가 나올 경우 바로 전 값이 "("일 경우 레이저이기 때문에 pop을 한 후 배열 길이 answer에 합

5. else - pop을 해서 쇠막대기 하나를 빼고 answer에 1을 덧셈

6. answer 출력

 

구글링을 해본 후 바꾼 방법입니다.

for문 한번에 끝내니 시간초과가 잡히고 정상적으로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레이저와 쇠막대기를 따로따로 하는 것이 아니라 한번에 할 수 있도록 조건문을 설정할 수 있는 브레인스토밍 시간을 갖지않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다음부터는 그래프를 연습해볼까 생각중입니다. 코테에서 그래프 문제 나올 때마다 거르고 시작하는 것 같아서 DFS, BFS 제대로 해보려고합니다

728x90